메모리 구조
- OS의 메모리 구조는 유저 영역, 커널 영역의 2가지 영역으로 나뉜다.
- 커널영역은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메모리이며, 사용자는 커널영역에 접근할 수 없다.
- 유저영역은 다시 4가지 영역으로 나뉘어진다.
1) 코드 영역
2) 데이터 영역
3) 스택 영역
4) 힙 영역
코드 영역
- 기계어로 컴파일되어 적재되는 코드 자체의 영역
- Read-Only
데이터 영역
-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동안 항상 접근 가능한 변수가 저장됨
- 전역(Global) 변수 / 정적(Static) 변수
- Read-Write
스택(stack) 영역
- 값 형식을 저장하는 영역.
- 지역변수와 매개변수가 저장되는 영역.
- 코드 블록 안에서 생성된 변수들은 블록이 닫히면 메모리에서 제거됨.
- 장점 : 액세스가 빠르다.
- 단점 : 메모리 크기가 제한적이며 변경할 수 없다. (컴파일 타임에 크기가 결정됨)
- 무한 재귀문등으로 정해진 스택의 제한량보다 많은 할당이 이루어지면 스택 오버플로우가 발생함.
이때는 컴파일 옵션등에서 스택의 제한량을 조정해야함.
힙(heap) 영역
- 참조 형식을 저장하는 영역.
- malloc, calloc 등으로 메모리를 직접 할당하여 사용한다.
- 자동으로 제거되지 않으며, 메모리해제를 안 할 경우 메모리 누수(leak)라고 부른다.
Java, C#등은 가비지 컬렉터(GC)가 수거함.
- 사용자에 의해 메모리 공간이 동적으로 할당되고 해제됨.
- 코드 블록이 사라지는 시점과 관계없이 데이터를 유지하고 싶을 때 사용
- 장점 : 메모리 크기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. (런 타임에 크기가 결정됨)
- 단점 : 엑세스가 느리다.
스택과 힙 비교
스택 | 힙 | |
엑세스 속도 | 빠름 | 느림 |
스코프 | 로컬 | 글로벌 |
메모리 크기 | 불변 | 동적 |
메모리해제 | 블록이 끝나면 자동해제 | 수동으로 해제해야함 |
스택 오버플로우, 힙 오버플로우
- 스택은 메모리의 끝에서부터, 힙은 메모리의 앞에서부터 주소를 채워간다.
- 그런데 서로의 영역을 침범할 경우 오버플로우가 발생한다.
- 스택이 힙을 침범할경우 : Stack overflow
- 힙이 스택을 침범할경우 : Heap overflow
'🛡️ 기술 면접용 질문들 > 운영체제 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컨텍스트 스위칭(Context Switching) (0) | 2023.03.20 |
---|---|
프로세스(Process) vs 쓰레드(Thread) (0) | 2021.04.16 |
가비지 컬렉션 (Garbage Collection) (0) | 2021.04.13 |